본문 바로가기

Architecture209

신축을 생각하고 있는데, IOT를 지금도 구축해서 사용하고 있어서 전기플러그 꽂는 것을 꼭 우리나라 표준에 맞는 걸 써야하나요? 신축을 생각하고 있는데, IOT를 지금도 구축해서 사용하고 있어서 대부분 전자제품이 해외직구로 구입한 것이 대부분입니다. 미국플러그도 있고, 유럽플러그도 있고, 필요에 따라 저렴한 것을 해외에서 구입하여 사용중입니다. 설계사 얘기를 들으니 전기 통신 공사시, KS인증이 된 제품만 벽면 콘센트로 쓸 수 있다는데.. 우리집은 현재는 전 세계 것을 쓸 수 있는 공용멀티탭을 쓰고 있는데.. 혹시 벽면 플러그는 꼭 우리나라 표준에 맞는 걸 써야하나요? 그리고 그것 밖에 없나요? ------------------------------------------------- 편법으로 110볼트와 220볼트를 같이 시공하는 경운 있는데, 일단 전기 설비는 KS승인이 난 걸 쓰셔야 한다네요. 2020. 2. 12.
옛날 축조를 허물고 보강토와 옹벽을 치려하는데... 보시는 것과 같이 축조가 땅의 2/3 지점에 되어 있습니다. 옛날 축조라서 신축을 하려면 새로 축조를 하거나 옹벽을 쳐야 한다더군요. 그래서 생각이, 두 가지로 나뉘는데 마사토를 더 가지고 와서 새로 보강토로 축조를 하여 그 위에 신축을 할 생각과 똑같이 도로 있는 곳까지 축조를 하되, 축조 아랫 부분에 차량이 들어갈 수 있는 주차 박스를 뭍는 콘크리트 옹벽을 설치하는 것 아무래도 두 번째가 돈이 더 많이 들 것 같은데 어떤 게 더 나을까요? 2020. 2. 12.
집은 골조로 구분한다 집은 골조로 구분한다. 크게 조적, 콘크리트RC, 목구조(중목구조, 경량 목구조, 판넬구조), 철골(H빔, 스틸하우스), ALC 로 나뉜다. 조적은 벽돌이나 블럭을 쌓는 방식인데 요즘은 거의 안 쓴다. 패쓰~ 콘크리트RC 가장 많이 쓰고 보편화 되어 있는데, 난방을 9월 강화된 기준에 맞추려면 네오폴 같은 고성능 단열재를 두껍게 넣어줘야 해서 타골법에 비해 평당 100 정도 비싸고 벽체가 두꺼워 지는 단점이 있지만 시공을 잘하면 가장 튼튼하단 평이다. 중목구조는 일본식 방식인데 시공이 까다로워 패쓰.. 경량목구조 봉식은 OSB판넬에 스터드를 대서 골조를 완성하고 스터드 사이사이에, 글라스울이나 수성연질폼 같은 단열재를 넣고 OSB를 덮어 골조를 완성한다. 벽체가 비교적 얇아공간 확보에 유리하나 시공에 꼼.. 2020. 2. 12.
나의 아파트 탈출기 아직 난 아파트에 살고 있다.. 남편은 대학시절 원룸을 끝으로 나는 기숙사를 마지막으로... 남편이 준비한 자그마한 아파트에서 시작을 하게 됐는데, 처음 생활하는 아파트는 만족스러웠다. 뭐가 만족스러웠냐고? 그냥 따뜻해서 좋았다. 남편은 새로 신축한 주택에서 살고 있어서 어땠을지 몰라도.. 우리집은 골목길 끝에 있는 구옥이라서 시내 한복판에 있는 집이었어도 추웠다. 근데 아파트는 추위가 안느껴질만큼 따뜻했다. 반팔을 한 겨울에 입고 살아도 괜찮을 정도로... 그렇게 작은 아파트 전세를 시작으로.. 지금은 살고 있는 도시에서 신축 아파트를 세군데나 옮기며, 높은 층에서 살고 있다. 처음에 남편이 주택 얘기를 꺼냈을 때, 난 반대했다. 아무리 잘 지었다는 신축 아파트도 사이드는 춥다는 걸 아는 내가.. 주택.. 2020. 2. 12.
건축물의 설계 표준계약서 국토해양부고시 제2009-1092호 건축법 제15조제3항의 규정에 의거 건축물의 설계 표준계약서를 다음과 같이 개정․고시합니다. 2009년 11월23일 국토해양부장관 건축물의 설계 표준계약서 1.건축물 명칭 : 2.대 지 위 치 : 3.설 계 내 용 : ☐신축 ☐증축 ☐개축 ☐재축 ☐이전 ☐대수선 ☐용도변경 ☐기타 1) 대지면적 : m² 2) 용 도 : 3) 구 조 : 4) 층 수 : 지하 층 지상 층 5) 건축면적 : m² 6) 연면적의 합계 : m² 4. 계 약 면 적 : m² 5. 계 약 금 액 : 일금 원정(₩ ): 부가세 별도 200 년 월 일 “갑”과“을”은 상호 신의와 성실을 원칙으로 이 계약서에 의하여 설계계약을 체결하고 각1부씩 보관한다. 건축주 “갑” 상 호 / 성 명 : (서명 또는 .. 2020. 2. 12.
수치 정확도를 높여 주택 시공안 2020. 2. 12.
주택 수정안 건축사의 조언을 참고하고, 대지 계획을 예상 수정하여 주택 시공안 수정. 2020. 2. 12.
토목 스케치 변경 설계를 들어 가야할 것 같아.. 설계하는 분이랑 현장에서 미팅을 했는데.. 저희 옆집과 오래된 석축이 있어 그걸 전부 제거하고 L옹벽을 쌓는 것으로 가닥을 잡았는데.. 그 분이 지난 번에 현장에 오셨던 분처럼 왜 멀쩡한 석축을 손대려 하느냐.. 그래서 "대지 모양과 맞지 않게 구부러진 곳만 손댈려하니, 어떤 분들은 전체를 다 건드려야 한다" 하시길래 아예 정리하려 한 것이다 하니.. 그냥 놔두고 정 그러면 측량 상 20센티는.... 더 나가도 되니.. 아래 몇 군데 앙카 박고 철근 쪼금 넣던가 해서 거푸집을 파란 선처럼 세우고 콘크리트 치면 보강도 되고, 땅도 다찾고 될 것 같다. 그리고 거푸집을 대지 모양으로 쭈욱 끝까지 내면 구부러진 곳도 메워지고 될 것 같다. 토목 안전진단을 받아 봐야 알겠지만 오.. 2020. 2. 12.
몇 년의 준비 기간을 거쳐 준비를 하고 이제 짓자. 본격 준비하기 몇년간 벼르고 벼르던 일을 드디어 실행에.. 집짓기... 처음에는 목조냐, 철콘이냐, 스틸, ALC 등 골조 등의고, 그 각각의 장단점을 공부한 다음.. 골조를 정하는 것부터.. 아파트에만 산 우리의 추구 방향은 아파트보다 추워선 안된다는 거다. 그리고 전원주택처럼 이상이 현실을 무시하는 집을 짓진 말자. 대지를 구하고, 춘천 지역내 업체를 알아보고 가격이 괜찮으면 턴키공사를 맡기려고 했다. 그런데 경기도나 서울 업체에 비해 경쟁력이 없는 것 같아.. 그 중 몇 곳을 알아보던중 ... 기본적으로 주택 업체는 전원주택을 베이스로 생각한다는 거다. 그게 뭔 차일까 싶어도 전원주택과 도시주택은 건폐율에서 엄청난 차이를 보인다. 자연녹지는 20%이지만 2종은 60%의 건폐율은 갖기 때문이다. 도시주택은 학교도 .. 2020. 2. 12.